재건축 사업성을 보려면 대지지분을 알아야 한다.
대지지분이란 건물 소유자가 소유한 부동산 중 대지(토지)에 대한 소유권 비율을 말한다. 공동주택(아파트)의 경우, 전체 토지 면적에서 각 소유주가 가지는 몫. 재건축 및 재개발 시 보상, 분당금, 또는 새로운 주택 배분의 기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!
왜 중요하냐 ?!
- 대지지분의 중요성
- 보상기준 - 기존 건물이 철거되면 대지지분을 기준으로 보상금이 산정된다.
- 새 아파트 배정 - 조합원에게 아파트를 분양 할 때, 대지지분을 기준으로 아파트 평형이나 분담금이 결정된다.
- 분담금 산정 - 새 아파트가 기존 소유 면적보다 크거나 가치가 높아질 경우, 나의 대지지분을 뺀 나머지가 분담금이 된다.
대지지분이 나의 몫이고, 내 몫이 얼마냐에 따라 내가 내야 하는 분담금이 적어지고 많아지니 (또는 돌려 받으니) 얼마나 중요한가 !!
대지지분이 클수록 좋은 것이다.

같은 면적일 경우, 가구수가 많은 아파트의 대지지분이 적다.
목동 아파트를 가 보면 알 것이다. 누가 봐도 아 여기는 대지면적이 정말 크구나. 대지지분이 많겠구나. 용적률이 낮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. 아파트 간격이 정말 넓기 때문이다.
현재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 중인 대단지인 목동 단지별 평균 대지지분과 용적률이다.
단지명 | 세대수 | 연식 | 용적률 | 평균대지지분 | 토지용도 | 역세권 | 학군 |
목동1단지 | 1,882 | 1985 | 123 | 25.9 | 2종 | 9호선 | 월촌중 |
목동2단지 | 1,640 | 1986 | 124 | 27.6 | 2종 | 신목중 | |
목동3단지 | 1,588 | 1986 | 122 | 27.6 | 2종 | 신목중 | |
목동4단지 | 1,382 | 1986 | 125 | 21.8 | 3종 | 신목중,목운중 | |
목동5단지 | 1,848 | 1986 | 116 | 28.7 | 3종 | 월촌중,양정중 | |
목동6단지 | 1,368 | 1986 | 139 | 20.8 | 3종 | 월촌중,양정중 | |
목동7단지 | 2,550 | 1986 | 125 | 20.8 | 3종 | 5호선 | 목운중 |
목동8단지 | 1,352 | 1987 | 156 | 15.7 | 3종 | 5호선 | 목동중,목운중 |
목동9단지 | 2,030 | 1987 | 133 | 24.2 | 3종 | 목동중,신서중 | |
목동10단지 | 2,160 | 1987 | 123 | 23.0 | 3종 | 2호선(지선) | 신서중 |
목동11단지 | 1,595 | 1988 | 120 | 19.2 | 3종 | 3호선(지선) | 신서중,봉영여중 |
목동12단지 | 1,860 | 1988 | 119 | 19.4 | 3종 | 4호선(지선) | 신서중,봉영여중 |
목동13단지 | 2,280 | 1987 | 159 | 21.1 | 3종 | 5호선(지선) | 목일중,봉영여중 |
목동14단지 | 3,100 | 1987 | 146 | 20.0 | 3종 | 6호선(지선) | 목일중 |
용적률과 평균대지지분이 가장 좋은 곳은 목동 5단지이다. 다른 곳은 정비구역 지정까지 되어 있지만 현재 5단지와 7단지는 안전진단 상태이다.
양천구 홈페이지에서 단지별 면적, 건폐율, 용적률 등 상세 현황을 알 수 있다.
https://www.yangcheon.go.kr/site/yangcheon/05/10508110200002017010604.jsp
그렇다면 대지지분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?
온라인 상에서 검색 시, 씨리얼 LH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이용한다. (https://seereal.lh.or.kr)

아파트 동, 호수 선택 시, 대지권지분비율을 확인 할 수 있다.
또는 등기부등본에서 확인가능 하다.
- 등기부등본 상에서의 대지지분 계산
대지지분 =대지권의 목적인 토지의 표시상 면접 x 대지권 비율
11.975 = 30,492㎡ x 39.2474

현재 재건축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6단지와 14단지이다. 14단지는 재건축 시 세대 수가 5123세대로 거대한 단지로 재탄생할 예정이다. 14단지의 아파트 면적별 대지지분과 평단가를 알아보자.
<목동 14단지 면적별 대지지분 및 평단가>
급면적(㎡) | 전용면적 (㎡) | 전용면적(평) | 대지지분 (㎡) | 대지지분(평) | 시장 시세 | 대지 지분당 평단가 |
75 | 55.02 | 16.64 | 44.17 | 13.36 | 13억8천만 | 1억329만 |
91 | 71.37 | 21.59 | 57.33 | 17.33 | 17억1천만 | 9867만 |
101 | 74.19 | 22.44 | 59.55 | 18.02 | 16억9천만 | 9378만 |
109 | 83.89 | 25.38 | 67.29 | 20.37 | 18억9천만 | 9278만 |
129 | 108.02 | 32.75 | 86.91 | 26.29 | 22억1천만 | 8406만 |
153 | 129.97 | 39.32 | 103.86 | 31.41 | 25억 | 7959만 |
182 | 157.59 | 47.67 | 126.51 | 38.27 | 27억5천만 | 7185만 |
시세는 KB부동산을 참고함(25.4월 기준)
- 대지 지분당 평단가 계산하기
대지 지분당 평단가 = 시장 시세 / 대지지분(평)
여기까지 대지지분을 알아보는 방법과 왜 대지지분이 중요한지 알아보았다.
다음은 이 대지지분을 가지고 재건축 사업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.
참고 사이트
씨리얼 LH 부동산정보 사이트 https://seereal.lh.or.kr
토지이음사이트 : https://www.eum.go.kr
: 토지 용도지역, 대지면적, 개별공시지가 등 파악 가능함
'부린이의 부동산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목동 14단지 재건축 사업성은 어떨까? (5) | 2025.05.23 |
---|---|
비례율과 권리가액, 종전자산감정평가 이걸로 종결(쉽게 설명) (2) | 2025.05.16 |
재건축이란 ! 아주 쉽게 설명해드려요. (0) | 2025.04.25 |
종상향이란? 쉽게 이해하기. 종상향의 중요성 (0) | 2025.04.21 |
도대체 건폐율 용적률이 뭐야? 쉽게 이해하기 (0) | 2025.04.18 |